K2017년 5월 15일4분Challenges취미판단에 대한 칸트의 주장을 살펴본 뒤 벤첼은 마지막으로 두 가지 문제를 제기합니다. 뭐 하나씩 따지기 시작하면 문제가 두 가지밖에 없을 리가 없겠습니다만 칸트가 <판단력 비판>에서 제시한 논의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문제를 바탕으로 칸트 미학...
K2017년 5월 8일5분Sublime프랑스의 소설가 조르주 페렉은 생각하는 것은 곧 분류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분류에는 반드시 기준이 필요하지요. 따라서 생각이 곧 분류라면 사고의 정교함은 분류를 위한 기준의 정교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기준이 투박하면...
K2017년 5월 1일3분Fine Art, Nature and Genius칸트는 취미판단의 네 가지 계기에 대해 고찰한 뒤, 취미판단의 구체적 대상에 대한 탐구로 넘어갑니다. 앞서 칸트가 제시한 취미판단에 대한 논증에 따르면 취미판단은 인간이 어떤 대상 앞에서 느끼는 쾌감, 쾌적함, 만족스러움에 대한 판단을 가리키며,...
K2017년 4월 24일5분Purposiveness and Necessity지난 시간 칸트가 제시하는 미감적 판단의 네 계기 가운데 두 계기, 무관심성과 보편성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칸트는 미감적 판단의 특징을 무엇보다 만족(흡족)으로 꼽고 있는데, 취미판단은 무엇보다 특정한 관심이나 이해에 기인하는 만족이 아닌 판단...
K2017년 4월 17일4분Disinterestedness and Universality칸트는 <판단력 비판>에서 ‘취미판단(geschmacksurteil)’이라는 개념을 통해 미의 문제를 다룹니다. 흔히 취미는 직업이나 어떤 필요에 의한 활동이 아닌 즐기기 위한 자발적 활동을 가리키는데, 국어사전을 찾아보면 취미의 다른 뜻으로...
K2017년 4월 10일8분Orientation축구 경기를 보다 보면 어려운 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멋진 득점이 나왔을 때, 예술적인 골이라는 해설자의 표현을 종종 접할 수 있습니다. 조미료를 쓰지 않고 천연재료와 신선한 해산물만으로 맛을 낸다고 자랑하는 어느 유명한 해물탕집에서는 저녁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