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bout Labyrinthos

  • Seminars

  • Contact

  • More

    Use tab to navigate through the menu items.
    • 전체 게시물
    • signposts
    • Kyobo
    • Feminism Yours
    • Walter Benjamin
    • Identity
    • Art of Loving
    • Kundera
    • Freud
    • Nietzsche
    • Melancholia
    • Joke
    • 사랑 예찬
    • Levinas
    • Blanchot
    • Tasting Badiou
    • Human Condition
    • LMW
    • Gender Trouble
    • Poesie
    • Kritik der Urteilskraft
    • Korea Nowaday
    • LNT
    • Cracks
    • Politeia
    • Human Nature
    • Socrates
    • 사랑 예찬
    • Foucault
    검색
    K
    • 2018년 7월 30일
    • 7분

    아이리스 매리언 영, <차이의 정치와 정의>

    정치학에서 영이 주로 관심을 기울인 영역은 정치철학입니다. 정치철학은 전통적으로 국가 권력의 기원, 공동체와 구성원의 관계, 정부의 합법성과 통치의 정당성, 평등과 자유 등 정치적 가치의 문제, 정치와 윤리의 관계 등을 다루어 왔습니다. 근대...
    조회수 220회댓글 0개
    K
    • 2018년 7월 9일
    • 6분

    샌드라 하딩, <누구의 과학이며 누구의 지식인가>

    지난 토요일 대학로에서는 몰카촬영 편파 수사에 항의하는 시위가 다시 한 번 열렸습니다. 시위를 전후해 다시 한 번 많은 논란이 있었고요. 일상에 만연한 수준의 성 범죄에 대한 비판이야 (물론 공감의 정도 차이야 있겠습니다만) 누구라도 수긍할 수...
    조회수 87회댓글 0개
    K
    • 2018년 7월 2일
    • 5분

    시몬 드 보부아르, <제2의 성>

    사회에는 다양한 유형의 갈등이 존재합니다. 서로 다른 여러 개인과 집단이 한 데 어울려 무리를 이룬 것을 사회라고 본다면 당연한 일일 수도 있습니다. 모든 사람이 똑같은 입장에서, 똑같은 기준으로 똑같이 생각하고 똑같이 행동한다면 갈등도 분쟁도...
    조회수 47회댓글 0개
    K
    • 2016년 12월 20일
    • 7분

    이현재, 깁슨-그레이엄: 페미니즘과 차이의 정치경제학

    오늘날 페미니즘은 여성에 대한 부당한 차별과 편견의 극복을 주장하는 것을 넘어 소수자에 대한 불평등 전반과 권력과 억압에 관한 사회적 부정의를 다룰 수 있는 지평을 제공합니다. 지난 밤 버틀러를 통해 살펴본 것처럼 신체의 경계, 젠더와 문화 역시...
    조회수 113회댓글 0개
    K
    • 2016년 12월 13일
    • 7분

    고지현, 주디스 버틀러: 자연은 과연 얼마나 자연적인가

    주디스 버틀러는 오늘날 가장 논쟁적인 학자 가운데 한 사람입니다. 퀴어 이론의 대변자로도 유명하지요. 버틀러는 유대인 집안에서 태어나 전통적인 유대교 율법 교육을 받으며 성장했습니다. 청소년기 그녀는 유대 공동체는 물론 가정과 학교에서도 늘...
    조회수 277회댓글 0개
    K
    • 2016년 12월 6일
    • 7분

    김원식, 아이리스 매리언 영: 차이의 정치

    오늘 국회에서는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제2차 청문회가 열렸습니다. 오늘 청문회는 미르, K스포츠재단이 국내 대기업을 대상으로 모금한 자금과 관련해서 대통령의 뇌물수수 혐의와 대기업의...
    조회수 115회댓글 0개
    K
    • 2016년 11월 29일
    • 8분

    이봉지, 엘렌 식수: 여성적 글쓰기

    지난 시간에는 길리건이 제시하는 돌봄 윤리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길리건은 인간의 도덕심리 발달 과정에 있어 모든 인간이 동일한 하나의 방식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상이한 경로의 발달 과정이 존재하며, 이러한 경로는 특히 여성에게서 많이 발견된다고...
    조회수 345회댓글 0개
    K
    • 2016년 11월 22일
    • 8분

    김은희, 캐롤 길리건: 정의 윤리를 넘어 돌봄 윤리로

    캐롤 길리건은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발달심리 이론을 연구한 미국의 심리학자입니다. 애초에 길리건이 페미니스트적인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한 것은 아닙니다. 특별히 페미니즘에 관심을 가졌던 것도 아니고, 기존의 이론이나 입장들과 특별한 관련을 맺고...
    조회수 1,276회댓글 0개
    K
    • 2016년 11월 15일
    • 7분

    조주현, 샌드라 하딩: 포스트모던 입장론의 변화와 한계

    지난 밤 이리가레를 다루면서 그녀의 사상을 줄곧 따라다녔던 ‘본질주의’라는 비판을 언급한 바 있지요. 사실 본질주의라는 비판은 근대 이전의 거의 대부분의 철학이 자유로울 수 없는 일종의 낙인과 같은 비판입니다. 모종의 초월적 차원을 전제하는...
    조회수 279회댓글 0개
    K
    • 2016년 11월 8일
    • 8분

    황주영, 뤼스 이리가레: 성차의 존재론과 수평적 초월

    보부아르는 ‘만들어진 성’이라는 개념을 통해 이전까지의 페미니즘이 새로운 차원으로 도약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기존의 페미니즘이 단순히 현존하는 질서 안에서 여성의 권익 신장이나 차별 철폐에 초점을 맞춰왔다면, 현행 질서 자체를...
    조회수 254회댓글 0개
    K
    • 2016년 11월 1일
    • 11분

    문성훈, 시몬 드 보부아르: 절대적 타자에서 실존적 인간으로

    페미니즘의 핵심은 성평등의 가치를 중심으로 현실에 존재하는 여성 억압의 원인과 상태를 기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여성의 해방을 추구하는 다양한 형태의 이론과 운동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오늘날 페미니즘은 여전히 가장 논쟁적인 주제 가운데...
    조회수 147회댓글 0개
    K
    • 2016년 10월 25일
    • 9분

    Orientation: 성평등을 주장하는 이름은 왜 여성주의인가?

    알버트 먼셀이라는 화가를 아십니까? (간혹 ‘문셀’로 표기하기도 합니다.) 먼셀은 1858년 보스턴에서 태어나 1918년 브루클린에서 사망한 미국의 화가입니다. 화가로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는 주로 바닷가 풍경...
    조회수 45회댓글 0개
    K
    • 2016년 10월 21일
    • 7분

    Invitation

    2016년 5월 17일 자정을 갓 넘긴 시각, 강남역 인근에서 한 사람이 죽었습니다. 다른 사람의 손에, 그러니까 살해를 당했다고 볼 수 있지요. 지난해 한국에서 사망한 사람의 수는 약 28만 명에 달합니다. 사고, 질병, 범죄, 노령 등 이유도...
    조회수 25회댓글 0개

    © Labyrinthos